티스토리 뷰
목차
육아하다 보면 정말 예상치 못한 순간들이 찾아오죠. 잘 놀던 아이가 갑자기 열이 나고, 밥도 잘 안 먹으려고 해서 속상한데... 며칠 뒤 손, 발, 입안에 빨간 물집까지 보이면 부모님 마음은 철렁 내려앉기 마련이에요. '이게 대체 뭐지?' 싶으실 텐데요. 요즘 같은 시기에 이런 증상이 나타났다면 '수족구병'을 의심해 볼 수 있답니다. 날씨가 더워 물놀이를 가게 되면 혹여나 수족구에 걸리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 마음에 제대로 놀지 못하게 하는 마음도 가지게 되죠. 저도 아이 키우면서 겪어봤는데, 처음엔 몰라 당황스럽고, 알아도 어떻게 해 줄 수 있는게 없이 울기만 하는 아이를 토닥이는 것 외에 할 수 있는게 없으니 맘이 많이 아프더라구요.. 그래서 오늘은 우리 부모님들이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하실 수 있도록 영유아 수족구병에 대한 모든 것을 알기 쉽게 알려드릴게요! 😊

수족구병, 도대체 정체가 뭔가요? 🦠
수족구(手足口)병은 이름 그대로 손, 발, 입에 물집(수포)이 생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이에요. 주로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같은 '장바이러스'가 원인이랍니다. 이 바이러스 종류가 워낙 다양해서, 안타깝게도 한번 앓았다고 해서 끝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에 또 감염될 수 있어요. 특히 면역력이 약한 생후 6개월에서 4세 사이의 영유아들이 여름과 가을철에 정말 흔하게 걸리는 '단골손님' 같은 병이랍니다.
물집 때문에 수두와 헷갈릴 수 있어요. 가장 큰 차이점은 물집의 위치! 수족구병은 주로 손, 발, 입 주변에 집중되는 반면, 수두는 물집이 몸통, 얼굴 등 온몸으로 퍼지는 특징이 있답니다.
놓치면 안 될 수족구 주요 증상 짚어보기 👀
수족구병은 보통 3~7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뒤 증상이 나타나요. 처음에는 감기처럼 시작해서 부모님들이 알아채기 어려울 수 있어요.
- 초기 증상 (감기와 비슷해요): 24~48시간 정도 미열이 나고, 목이 아프다며 밥을 거부하거나, 기운 없이 축 처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어요.
- 특징적인 물집 (1~2일 후): 열이 나고 하루 이틀 뒤, 드디어 수족구병의 시그니처인 물집이 보이기 시작합니다. 입안, 손, 발이 주요 공략 대상이죠.
발생 부위 | 증상 특징 |
---|---|
입 (口) | 혀, 잇몸, 볼 안쪽에 붉은 반점이 생겼다가 물집으로 변하고, 금방 터져서 궤양이 돼요. 아이가 가장 아파하는 부위죠. |
손 (手) / 발 (足) | 손바닥, 발바닥, 손등, 발등에 3~7mm 크기의 작은 물집이 생겨요. 가렵지는 않은 경우가 많아요. |
기타 부위 | 엉덩이, 사타구니, 무릎 등 기저귀 닿는 부위에도 발진이 생길 수 있어요. |

슬기로운 집콕 생활! 가정 내 간호법 🏡
수족구병은 아쉽게도 특별한 치료제나 예방 백신이 없어요. 그래서 증상을 완화해주면서 아이가 스스로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'대증요법'이 치료의 전부랍니다. 다행히 대부분 7~10일이면 자연스럽게 좋아져요.
📝 우리 아이 수족구 케어 플랜
- 수분 공급 올인!: 입안이 아파서 아이가 잘 못 먹을 거예요. 탈수가 가장 위험하니, 차가운 물, 보리차, 이온 음료 등을 조금씩 자주 먹여주세요. 아이스크림이나 차가운 푸딩도 좋은 방법이에요!
- 자극 없는 음식: 뜨겁고, 맵고, 짠 음식은 입안 상처를 더 아프게 해요. 부드러운 죽, 요플레, 으깬 감자 등 삼키기 쉬운 음식을 준비해주세요.
- 충분한 휴식: 아이가 바이러스와 잘 싸울 수 있도록 편안하게 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해요.
대부분 가볍게 지나가지만, 드물게 뇌수막염, 뇌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요. 아래 증상이 보이면 밤중이라도 꼭 응급실에 가셔야 합니다!
- 39도 이상의 고열이 있거나, 38도 이상의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될 때
- 아이가 심하게 보채고, 구토를 반복하며 축 늘어질 때
- 소변 양이 확 줄고, 울어도 눈물이 안 나오는 등 탈수 증상이 심할 때
- 심한 두통을 호소하거나, 경련, 호흡 곤란 증세를 보일 때
전염 막는 철벽 방어! 예방 및 관리법 🧼
수족구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해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해요. 증상이 나타난 후 첫 1주일 동안 전염력이 가장 강하므로, 진단받았다면 단체 생활은 잠시 멈춰야 합니다.
- 손 씻기: 외출 후, 식사 전후, 배변 후, 기저귀 교체 후!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히 씻는 것이 최고의 예방책이에요.
- 장난감 소독: 아이 입에 자주 들어가는 장난감, 식기, 놀이기구 등을 주기적으로 소독해주세요.
- 기침 예절: 기침이나 재채기는 옷소매 위쪽으로!
- 격리하기: 확진 시 최소 1주일은 어린이집, 유치원 등 등원을 중단하고 집에서 쉬게 해주세요.
- 물건 따로 쓰기: 감염된 아이의 수건, 식기 등은 다른 가족과 구분해서 사용해야 2차 감염을 막을 수 있어요.
한눈에 보는 수족구 핵심 정리
자주 묻는 질문 ❓
아이의 수족구병, 부모님에게는 정말 걱정되고 힘든 시간일 거예요. 하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만으로도 잘 이겨낸답니다. 이 글이 우리 부모님들의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렸으면 좋겠네요. 아이의 상태를 잘 살피시되, 이 글은 일반적인 정보이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, 잊지 마세요!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~ 😊
** 참고문헌 및 출처
[질병관리청 https://www.kdca.go.kr/filepath/boardDownload.es?bid=0015&list_no=725522&seq=2]
[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://health.kdca.go.kr/healthinfo/biz/health/gnrlzHealthInfo/gnrlzHealthInfo/gnrlzHealthInfoView.do?cntnts_sn=5332]
[서울아산병원 https://www.amc.seoul.kr/asan/healthinfo/disease/diseaseDetail.do?contentId=31605]